본문 바로가기
나의 주식 story/테마주 총정리

포스코퓨처엠 주가 급등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포스코퓨처엠 핵심재료 확인

by dave_lim 2023. 7. 8.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의 주가 전망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향후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주가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의 주가는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따른 경쟁력 강화와 관련된 뉴스와 향후 수익성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것입니다.

 

소재 소개와 목표 조정

포스코퓨처엠은 2030년까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생산능력을 연간 100만 톤으로 확대하고 전구체 투자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포스코퓨처엠은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기존의 생산능력 목표치인 2030년까지 연간 62만 톤에서 약 40% 상향 조정하여 100만 톤으로 목표를 변경했습니다.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른 투자 계획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수요의 증가와 함께 배터리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여 양극재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포스코그룹 역시 2차전지 소재를 철강, 수소 등과 함께 "미래 먹거리"로 꼽고 투자를 강화할 것을 밝혔습니다.

포스코퓨처엠

대규모 양극재 증설로 경쟁력 강화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얼티엄캠 등과 총 83조 5000억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양극재 수요는 더욱 폭발할 것으로 예상되며, 포스코퓨처엠은 대규모 증설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초격차를 이루기 위한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표 생산능력과 주요 경쟁사 비교

포스코퓨처엠의 새로운 양극재 생산능력 목표치는 국내 주요 양극재 회사를 압도합니다. LG화학은 2028년까지 연간 47만 톤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에코프로는 2027년까지 연간 71만 톤, 엘앤에프는 2026년까지 연간 40만 톤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차트

 

투자 계획과 공장 건설

포스코퓨처엠은 현재 포항과 광양에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캐나다에 얼티엄캠과의 합작회사를 통해 양극재 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추가 증설을 고려하면 생산능력은 60만 톤 규모에 가까워지며, 약 9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투자 지역과 포스코그룹의 투자 계획

투자 지역으로는 포항과 광양이 유력하며, 부지가 부족한 경우에는 새만금 등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해외로는 캐나다와 미국 등 북미 지역이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앞으로 8년간 철강, 2차전지, 수소 분야에 121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국내 투자금은 73조원으로, 비철강 분야에 철강보다 더 많은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