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이야기

새마을금고 부실 명단 확인 - 부실 30곳 (뱅크런의 시작/예금자보호법 적용받나)

by dave_lim 2023. 7. 6.
반응형

금융 기관의 안정성은 경제 전반의 원활한 운영과 개인과 기업의 재정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새마을금고'의 부실 위기가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새마을금고는 지역 사회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외된 계층을 지원하는 역할로 알려져 있지만, 부실 문제로 인해 신뢰의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새마을금고의 안정성과 자산 보호에 대한 우려를 품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새마을금고의 부실 위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새마을금고 부실 명단 30곳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게시물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부실 사태

수신금리가 높아 수신잔액이 꾸준히 늘던 새마을금는 최근 두 달 연속 수신잔액이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수신 잔액은 258조2811억원으로,

전달(262조1427억원)보다 약 1.5%(3조8616억원) 줄었다고 합니다.

지난 2월 말(265조2700억원)과 비교해선 무려 2.7%(6조9889억원) 감소한 상황입니다.


이 기간에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권에서 유일하게 자금이 빠져나갔는데,

그 배경에는 금고의 자금 건전성 우려가 있습니다.

 

PF(프로젝트파이낸싱) 등 부동산 관련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이 주목할 부분입니다. 

새마을금고는 최근 부동산 PF 수수료 비리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기도 한 만큼

부동산 PF 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생기고 있습니다.

 

'뱅크런' 사태에 대한 우려

이같은 새마을금고 부실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면서, 뱅크런 사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뱅크런"이란 은행 시스템 전반에 걸친 신뢰 손실과 안정성 붕괴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많은 예금자들이 동시에 은행에서 예금을 인출하려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은 예금액의 일부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모든 예금을 동시에 상환할 수 없게 됩니다.

뱅크런은 대개 대규모 경제 위기, 파산 우려, 금융 시스템 충격 등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금자들이 은행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을 품고 예금을 인출하면, 이러한 신뢰 손실은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의 운영을 위협하고 금융 시스템에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뱅크런 상황에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 구조조정, 금융 지원, 예금 보험제도, 금융 안정화 기금 등을 활용하여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뱅크런은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강조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융 안정성 강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새마을금고 부실 명단 30곳

새마을금고의 예금자들의 우려 때문에,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명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 명단 30곳 확인하기>

<새마을금고 부실 명단 100곳 확인하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명단이라고 돌아다니는 명단들은

사실상 출처가 부정확하다고 합니다.

 

새마을금고에 예금자분들은 많이 걱정되시겠지만,

일단, 거래 금고 지점에 연락을 취해 확인하는 것이 정확할 것 같습니다.

 

1인당 5,000만원까지는 예금자 보호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소액 예금을 보유한 분들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은행 부실을 판단하는 지표와 기준

은행 부실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지표와 기준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와 기준은 은행의 재무상태, 자본 강도, 위험 관리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지표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기자본 비율 (Capital Adequacy Ratio): 자기자본 비율은 은행이 재무 위기 상황에서도 예금자들에게 충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규제 기관은 은행이 최소한의 자기자본 비율을 유지해야 함을 요구합니다.

2. 부실 채권 비율 (Non-Performing Loan Ratio): 부실 채권 비율은 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 중 상환 불가능한 채권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높은 부실 채권 비율은 은행의 위험과 안정성에 대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3. 유동성 비율 (Liquidity Ratio): 유동성 비율은 은행이 예금자들의 출금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현금 및 유동자산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충분한 유동성이 없을 경우 은행은 부실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신용등급 (Credit Rating): 외부 신용평가 기관은 은행의 신용 등급을 평가합니다. 이 등급은 은행의 안정성과 채무 이행 능력을 반영하며, 높은 등급은 신뢰성을 나타냅니다.

이 외에도 은행 부실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지표 및 기준이 있습니다. 규제 기관과 중앙은행은 은행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부실 위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러한 지표와 기준을 사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