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주식 story/테마주 총정리

셀트리온 주가 상승,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인 이유 !

by dave_lim 2021. 1. 3.
반응형

셀트리온 미공개 고급정보는 여기!

셀트리온 주가전망 (feat. 코로나 치료제/저평가 관련주)

오늘은 우리나라 최고의 바이오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코스피 시가총액 6위인 '셀트리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실, 이미 셀트리온에 장기투자를 하고 있는

주주분들은 셀트리온에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나보다 훨씬 더 잘 알고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나 나름대로의 셀트리온 종목 분석을 해볼까 한다.

 

1. 셀트리온의 개요

1991년 설립되어 코스피 시장에는 2018년 상장하였다.

(물론, 코스닥 시장에는 그보다 한참 전에 상장함..)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생산한다.

 

아치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3공장 신설을 계획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가 있으며 2016년 미국 FDA의 판매 승인을 받았다.

 

2. 셀트리온의 영업실적, 재무분석

*셀트리온의 매출실적과 재무상태는 여기서 알아보자*

2018년 매출액 9,821억원, 영업이익 3,387억원

2019년 매출액 11,285억원, 영업이익 3,781억원

2020년 예상 매출액 18,687억원, 영업이익 7,640억원이다.

최근 3년간 매출액이 꾸준히 상승했으며,

특히, 2020년 매출액은 작년대비 6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셀트리온의 정말 놀라운 점은..

바로 영업이익률이다.

영업이익률이 35~45%에 달할 만큼 

정말 사기에 가까울 정도로 높다.

 

이는 셀트리온이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돈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하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영업이익이 많이 남는 만큼

영업활동현금흐름도 매우 양호하다.

 

또한, 부채비율은 50%에도 미치치 않아,

재무 안정성이 높다고 보여지며,

자본유보율 또한 2000% 이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특이한 점은,

셀트리온은 최근 3년간 단 한번도

현금배당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이익을 사업확대, 신약 개발 등

재투자 자금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주주 입장에서 현금배당이 없는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지만,

셀트리온 같은 경우는 주가가 매우 크게 상승했기 때문에

시세차익으로 배당 이상의 이익을 얻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유동주식수 및 거래량분석

*셀트리온의 유통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여기서 알아보자*

총 발행주식 수는 1억 2,500만주 수준으로

총 주식수가 매우 많은걸 볼 수 있다.

셀트리온 홀딩스가 20%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에 올라 있으며,

다른 주요 주주들의 지분율을 모두 제외하면

실제 시장에서 유통되는 유동주식 수는 

총 발행주식 수의 75%인 1억 주이다.

 

최근 거래량을 살펴보면

하루 거래량이 보통

100만주 ~ 500만주 사이에서 결정됐다.

유동주식수가 1억주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적은 거래량이다.

 

셀트리온은 특히 장기투자하는 개미 투자자가 많다.

지금의 셀트리온이 있기까지,

강성 개인주주의 역할도 컷다는 것은 매우 유명한 이야기이다.

 

최근 거래량이 크게 터지지 않고도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이유 또한 강성주주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주가가 올라도 차익실현 물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외국인 보유율은 20% 수준으로

1년 전과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주가는 1년 전에 비해 2배 가량 상승했다.

주가를 끌어올린 주체가 외국인이 아니라,

동학개미로 불리는 개인 투자자들일 가능성이 높다.

 

4. 셀트리온이 아직도 저평가인 이유

*셀트리온의 저평가 이유는 여기서 알아보자*

많은 투자자들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비교한다.

그래서 나도 한번 비교해보았다.

 

셀트리온을 동업종 기업과 비교해보면

아직 매우 저평가라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시가총액은 54조

셀트리온의 시총은 48조이다.

 

그런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셀트리온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매우 크게 앞선다.

 

특히, 영업이익은 셀트리온이 4배 이상 많다.

영업이익률도 셀트리온이 2배 이상 높다.

 

그런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시가총액이 더 높은게 

투자자들이 보기에 매우 이상할 수 있다.

(물론 삼성그룹 주이기 때문에..납득은 간다)

 

이러한 이유로 셀트리온이 아직도 저평가라고 생각한다.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제품역량 등

아직 셀트리온의 잠재력은 무궁무진 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임상시험 중인 코로나 치료제가 개발되고,

전 세계로 판매가 시작되면

셀트리온은 다시한번 도약할 것이다.

 

앞으로 셀트리온의 제 2, 제 3의 전성기가 기대된다.

 

셀트리온에 대한 미공개 고급정보가 궁금하다면
'하단' 참고바란다.

반응형